본문 바로가기
정보story

되 와 돼 구분법, 쉽게 구분하는 방법 이것만 기억하세요

by 보니노 2024. 5. 2.
반응형
안녕하세요, 보니노stroy의 보니노입니다.
한국 사람도 자주 틀리는 맞춤법, 뭐가 있을까요? 한글이란 정말 아름답고 좋은 글자이지만 한글을 이용하여 글을 쓸때에 정말 헷갈리고 어려워 자주 틀리게 되는 맞춤법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헷갈리기 쉬운게 [되] 와 [돼] 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은근히 혼동하기 쉬운 [되] 와 [돼] 쉽게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니노story를 시작합니다.

생활-정보-되와-돼의-차이-구분하기-사진
생활정보 되와 돼의 차이 구분하기

 

반응형

 

되 와 돼

먼저 [] 와 [] 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까요?

는 단독으로는 문장이 완성될 수 없고 어미와 함께 사용이 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되고','되는' 등과 같이 어미가 함께 있어야하고, '' 로 단독 사용할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는 '되어' 의 준말로 '되어'를 줄여 축약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되어'를 사용하였을때 자연스러운 문장이 완성된다면 '돼' 대신 '되어'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문장의 끝은 '' 가 사용됩니다.

  • 나는 인형이 고 싶어 = [되] 에 [~고]라는 연결 어미가 붙어 [되]가 됩니다.
  • 만들면 요 = 만들면 '되어요' 가 축약된 형태이므로 [돼]가 됩니다.

 

구분하기

[] 와 [] 는 많은 매체에서 올바르지 않은 표기로 사용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더 혼동하기 쉽죠.

하지만 '' 와 '' 는 생각보다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되어' 를 넣어보는 방법입니다. "그게 무슨말이냐?" 하면

'' 와 '' 가 들어가야할 자리에 '되어'를 넣어보는겁니다.

'되어'를 넣어보고 자연스럽다면 ''를 사용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를 쓰는것이죠.

 

예를 들어 "이건 안되나요?" 라고 했을때 '되' 자리에 '되어' 를 넣어보겠습니다.

"이건 안[]나요?"  와 "이건 안[되어]나요?" 둘 중 '되'보다 '되어'를 넣은것이 어색합니다.

'되어'를 넣었을 때 어색하므로 ''가 들어가는것이 맞습니다.

 

더 쉽게 구분하기

위의 방법이 조금 어렵다 라고 생각이 드신다면 또 한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도 늘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 와 [] 를 [] 와 []로 바꿔 생각해보는겁니다.

바꿔봤을때 조금 더 자연스러운쪽이 맞다고 생각하면 되는건데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그건 안돼요 = 그건 안하요(x), 그건 안해요(o)
  • 나는 의사가 되고 싶어 = 나는 의사가 하고 싶어(o), 나는 의사가 해고 싶어(x)
  • 12월10일까지 돌려주면 돼요 = 12월10일까지 돌려주면 하요(x), 12월10일까지 돌려주면 해요(o)
  • 그런건 됐어요 = 그런건 핬어요(x), 그런건 했어요(o)
  • 이거 내가 먹어도 ? = 이거 내가 먹어도 ?(x), 이거 내가 먹어도 ?(o)

문장이 조금 더 매끄러운쪽이 정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문장의 끝은 무조건 [돼] 로 끝나고 [되,돼] 를 [하,해] 로 대입해보고 자연스러운걸 찾는다.

이 두가지만 정확히 기억하신다면 구분하기가 어렵지 않을것입니다.

 

정답 찾아보기

[],[] 에 [],[] 를 넣어 구분해보세요.

 

  • 할머니댁에 가야되 / 할머니댁에 가야돼
  • 답장해야 되는데 / 답장해야 돼는데
  • 그렇게 됬어요 / 그렇게 됐어요
  • 되는지 안 되는지 / 돼는지 안 돼는지
  • 쭉 가시면 됩니다 / 쭉 가시면 됍니다

 

 

정답을 알아보겠습니다.

 

 

  • 할머니댁에 가야돼
  • 답장해야 되는데
  • 그렇게 됐어요
  • 되는지 안 되는지
  • 쭉 가시면 됩니다

 


 

되 와 돼 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알고 나면 쉬워지는 구분법! 잊지말고 잘 사용해보시길 바래요.

 

반응형